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116

[21.08.20] 환율과 주가의 상관관계 안녕하세요? 오늘은 환율과 주가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국내 주식상황으로 보는 환율과 주가 상관관계 주식시장의 매수자는 개인, 외국인, 기관 등으로 크게 나뉩니다. 흔히 매수자들 중 외국인과 기관이 주식을 구매하면 증시가 오른다고 하는데요. 그렇다면 외국인들이 한국주식을 살때와 팔때 주가와 환율은 어떻게 변할까요? 먼저, 다른 나라와 비교하여 주요 경쟁회사들과 대비하여 월등하게 우수한 한국기업의 주식이 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외국인들은 이 주식의 구매를 위해 일단 가지고 있는 외화를 팔아 원화를 살 것이고, 그렇게되면 원화가치가 상승하게 되고, 달러/환율은 하락하게 됩니다. 원화를 확보한 외국인들은 한국 주식을 사고, 주가는 상승하며, 환율은 떨어집니다. 즉, 원화강세를 보입니다. 반대.. 2021. 8. 20.
[21.08.19] 모멘텀(momentum)과 펀더멘탈(Fundamental) 안녕하세요? 오늘은 모멘텀과 펀더멘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두 단어 모두 투자 전문가들이 특정 주식의 투자가치나 전망, 추세분석 등에 대해서 이야기 할때 자주 사용합니다. 1. 모멘텀(momentum)이란? 원래 모멘텀은 물질의 운동량이나 가속도를 의미하는 물리학 용어지만 주식투자에서 흔히 주가 추세의 가속도를 측정해 주가의 변동 상황을 이해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쓰입니다. 즉, 주가가 상승세를 타고 있을때 모멘텀의 기울기에 따라 얼마나 더 상승할 수 있는지, 또는 주가가 하락하고 있을 때는 얼마나 더 하락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추세분석의 기초가 됩니다. 변수가 같은 방향으로 변동하려는 경향 즉, 가속률로서 추세분석의 기초가 되며, 증권시장에서는 가격과 거래량의 추세를 분석함으로써 개별증권이나 .. 2021. 8. 19.
[21.08.17] 동시호가란? 안녕하세요? 오늘은 동시호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동시호가란? 동시호가는 증권시장에서 유가증권 매매거래시 동시에 접수된 호가 또는 시간의 선후가 분명하지 않은 호가를 말합니다. 즉, 전장 또는 후장 시작 후 5분간 접수된 호가, 매매 중단 또는 정지되었다가 재개한 후 5분간 접수된 호가, 앞에서 5분간 접수된 호가로 매매가 성립되지 아니한 경우 최초의 가격이 결정될 때까지 접수된 호가, 거래소가 정한 종목의 종가 결정시 시장 종료 전 5분간 접수된 호가 등이 해당합니다. 매매거래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 접수된 대량주문을 공정하게 처리하기 위해 마련한 제도로 이 시간대에 접수된 주문은 동시에 낸 것으로 간주하고 개장과 동시에 단일 가격을 적용하여 일괄적으로 거래를 성사시킵니다. 2. 동시호가 매매방법.. 2021. 8. 17.
[21.08.12] 재무상태표(자본과 자본잠식) 안녕하세요? 오늘은 저번 포스팅에 이어 재무상태표, 그중에 자본과 자본잠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자본과 자본잠식이란? 자본은 자본금, 자본잉여금, 기타자본, 이익잉여금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자본은 순수한 '내 돈'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주식을 접하다보면 종종 '자본잠식이 발생했다'라는 내용을 보셨을텐데요. 자본잠식을 간략하게 말하자면, 영업손실로 인하여 기업의 근간이되는 자본이 손해를 보았다는 뜻입니다. 이는 기존의 영업이익으로 발생된 수익이 더 이상 남아있지 않아, 기초자본마저 위태로운 상태를 의미합니다. (한 두번의 손실로 인해 발생되는 경우가 아니며, 장기간에 걸쳐 꾸준한 영업손실로 발생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본잠식은 상장폐지, 기업회생 이전에 거쳐가는 구간으로, 투자상 최악의.. 2021. 8.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