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116 [21.08.11] 재무상태표(자산과 부채) 안녕하세요? 오늘은 재무상태표의 자산과 부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재무제표는 기업의 현재 금액의 기록이나 관리를 위해 작성하는 표이며, 재무상태표는 재무제표의 한 종류입니다. 재무상태표에는 자산, 부채, 자본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분기 1년기준으로 변동된 사항을 쉽게 확인가능하도록 옆에 같이 등재해줍니다. 재무상태표의 변화를 보고 어떤 계정항목이 늘어나고 줄어들었는지 비교하며 알 수 있습니다. 또한, 현재 기업이 재무상 부실한지, 아닌지를 평가하는데에도 유용하게 쓰입니다. 1. 자산 재무상태표의 가장 처음은 자산항목입니다. 자산은 자본과 부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자본은 부채가 없는 순수한 자산이며, 부채는 빌린 돈입니다. 자산의 유동자산은 당좌자산과 재고자산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즉시 현.. 2021. 8. 11. [21.08.08] 집구할때 헷갈리는 전용면적/공용면적/공급면적/계약면적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집구할때 헷갈리는 면적과 관련된 용어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이사철 새 거처를 구할 때, 부동산이나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둘러보면 면적을 여러 가지로 표기해 혼란스러울 때가 많은데요. 각종 면적의 개념(전용면적과 공용면적, 공급면적, 계약면적)과 함께 집 구할 때 면적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법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오해하기 딱 좋은 용어 : 공급면적 통상 부동산 어플리케이션에서 매물을 찾고, 그중 지내던 주택 또는 아파트와 크기가 같은 매물이 마음에 들어 직접 임장하게 되면, 둘러본 집은 통상 예상보다 턱없이 작습니다. 같은 면적인데 왜 이렇게 차이가 큰 걸까요? 이는 매물 홍보물 게시자가 ‘공급면적’ 정보를 올렸기 때문입니다. 공급면적이란 현관문 안쪽의 거실, 침실, 화장실 등 실.. 2021. 8. 8. [21.08.05] 컨센서스(consensus)는 무슨 뜻일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실적발표에 주로 등장하는 컨센서스(consensus)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주식관련 매체들에서 주로 나오는 '컨센서스'는 '컨센서스를 상회 또는 하회했다', '시장의 컨센서스' 등의 표현으로 자주 활용됩니다. 그럼, 컨센서스가 무엇일까요? 1. 컨센서스란? 컨센서스의 사전적 의미는 공동체 구성원들의 의견에 대한 합의. 또는 그의견. 즉, 어떤 집단을 구성하는 사람들 간의 일치된 의견을 뜻합니다. 2. 주식에서 컨센서스의 해석 시장 전문가들에 의해 분석된 종목 또는 업종과 시장에 대한 평균적인 매매 가격((목표가격)과 매매 입장 등을 포함하는 투자정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3. 컨센서스의 필요성 일반적인 투자자들의 입장에서는 주식매매를 하기 위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 분석하지만.. 2021. 8. 5. [21.08.01] 주식 VI 발동 안녕하세요? 오늘은 주식 VI 발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VI(Volatility Interruption) 변동성 완화장치 발동이란? 개별종목의 체결 가격이 일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 주가의 급변을 완화하고, 투자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해 2~10분간 단일가매매로 전환하는 가격 안정화 장치입니다. 앞서 다뤘던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보다는 약한 주가 완화장치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 멜파스 | 정적VI 1회 발동 | 발동시간 : 09:22 ~ 09:25 ▲ 아즈텍WB | 정적VI 1회 발동 | 발동시간 : 10:59 ~ 11:02 ▲ 켐트로스 | 정적VI 1회 발동 | 발동시간 : 09:20 ~ 09:23 위의 종목들은 7월 30일 VI가 발동된 종목들 입니다. 주식 VI발동에는 동적VI(동적 변.. 2021. 8. 1.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 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