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116

[21.07.30]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 안녕하세요? 오늘은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사이드카(Sidecar) 란? 사이드카란 "투자자 여러분 일단 잠시 멈춰서 다시 생각해보세요!"라는 의미입니다. (주식장이 급락 또는 급등장에서 수차례 발생합니다.) 선물시장이 급변할 경우 현물시장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현물시장을 안정적으로 운용하기 위해 도입한 프로그램 매매호가 관리제도의 일종인데요 주식시장에서 주가의 등락폭이 갑자기 커질 경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주식매매를 일시 정지시키는 제도인 서킷브레이커(circuit breaker)와 유사한 개념입니다. 한국에서는 주가지수 선물시장을 개설하면서 도입하였는데, 선물가격이 전일종가 대비 5% 이상(코스닥은 6% 이상) 상승 또는 하락해 1분간 지속될 때 발.. 2021. 7. 30.
[21.07.27] 무주택자 인정기준(feat. 주택청약) 하루가 다르게 집값이 올라 내 집 마련의 꿈에 다가가기 어려운 요즘, 주택 청약 경쟁률도 치열한데요. 무주택자라면 주택 청약 가점제에서 점수를 더 획득하게 되어 청약 확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때 ‘무주택’은 단순히 청약 신청자가 집을 소유하지 않은 경우만 해당하지는 않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주택 청약 시 추가 점수를 획득할 수 있는 무주택자의 기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청약 가점제란? 아파트 청약은 추첨제와 가점제로 구분됩니다. 추첨제는 당첨자를 추첨에 의해 선발하는 방식이고, 가점제는 조건에 따라 점수를 계산해서 점수가 높은 순서대로 당첨자를 선발하는 방식인데요. 추첨제로 당첨자를 선발했던 과거와 달리 최근에는 투기를 막기 위해 실수요자에게 유리한 가점제가 더 많은 비중을 차.. 2021. 7. 27.
[21.07.26] 감가상각이란? 1. 감가상각이란? 감가상각의 각각 단어의 뜻으로 살펴보면, 감가는 가치가 감소한다는 뜻이고, 상각은 보상해서 처리한다는 의미입니다. 즉, 감가상각은 '가치가 감소하는 만큼 비용으로 처리하는 것'이라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토지와 건설중인 자산을 제외한 대부분의 유형자산은 감가상각의 과정을 거칩니다. 감가상각을 하는 이유는 자산가치의 감소를 재무제표에 반영하기 위해서 입니다. 무형자산의 경우 감가상각이 아니라 상각이라는 단어를 사용합니다. 감가는 가치 또는 가격이 감소한다는 의미인데, 무형자산의 경우 유형자산처럼 이를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손익계산서를 볼 때 감가상각비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감가상각비는 이익 추정은 물론이고 현금흐름을 추정하기 위해서도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재무제표를 .. 2021. 7. 26.
[21.07.16] 주가 조정이란? 안녕하세요? 오늘은 주가 조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보통 주가가 오르고 있는 상황에서 일시적인 하락이 있을때 주식관련 커뮤니티에서 많이 나오는 이야기가 바로 이 조정과 관련된 이야기인데요. 보통 일시적인 조정이니 추가매수 해야된다 식의 표현으로 자주 쓰이고 있는 용어입니다. 1. 조정이란? 조정이란, 주가가 상승하다 어떠한 요인에 의해 상승을 멈추고, 횡보하거나 하락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주식시장에서 기업의 실적, 외부상황이 좋아져 주가가 목표치 만큼 상승하거나, 또는 목표치보다 너무 많이 상승한 경우 투자자들은 이익실현을 위해 주식을 매도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주가는 하락하게 되는데, 이럴 때, 주가가 '하락 조정 받는다'라고 표현합니다. 또한, 위 언급한 사례대로 주가가 하락, 횡보하는 시기를.. 2021. 7.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