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주식

[21.07.15] 스팩주란?(SPAC)

by 이지야무애 2021. 7. 15.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스팩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식관련 뉴스(특히 공모주 관련)를 접하다보면 스팩(SPAC)이라는 단어를 접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스팩과는 많이 다릅니다.

그렇다면 지금부터 스팩(SPAC)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SPAC(스팩)(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y)이란?

 

기업인수목적회사라고 하며 Blank Check Company(백지수표회사), Shell Company(껍데기회사, 즉 유령회사)라고도 합니다.

정해진 기간안에 신규 사업을 인수 하여, 기업을 상장시키는 것이 목적인 회사이며, 상장까지 18개월~24개월 가량의 시간이 소요됩니다.

조건에 따라 36개월 까지도 가능하다고 하네요.

IPO(기업공개)를 통해 주식시장에 상장시키는 것 보다 시간이 짧고 단순한 과정을 통해 주식시장에 상장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 주식시장에서는 SPAC을 통하여 주식시장에 회사를 상장시키는 것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SPAC을 통한 우회상장은 어떤식으로 기업을 주식시장에 상장시킬까요?

 

SPAC를 통한 우회상장 순서

1. 상법상 주식회사 설립(페이퍼 컴퍼니)

2. 기업공개(IPO) 및 주식시장 사장

3. 합병 대상 기업 발굴 및 합병(3년 이내) - 성공 : 합병기업의 주식 보유 또는 매각

                                                     - 실패 : SPAC 청산 및 공모자금 반환

 

 

​위의 내용처럼, 우선 기업을 우회상장 시키기 위해서는 SPAC(기업인수목적회사)를 설립해야 합니다.

 

상법상 적합한 페이퍼컴퍼니(SPAC)를 만들게되는데 이때, 설립된 SPAC의 대표자는 유명 투자자 또는 증권사에서 어느정도의 경력이 쌓인 분들로 구성됩니다.

 

이렇게 설립된 SPAC은 기업공개(IPO)를 통해 시장으로부터(기관,투자자 등) 자금을 조달받게 되며, 이과정은 일반주 공모와 동일한 과정을 거칩니다.

 

이렇게 조달받은 금액은 기업인수합병에 사용되며, 일부는 SPAC을 운용하는데 쓰입니다.

- 사무실 운영비(법적으로 사무실이 있어야 됩니다.)

- 법적비용

- 회계사비용 등이 있습니다.

 

SPAC IPO를 통해 투자금을 유치하고, 주식시장에 사장하게 되면 일반 주식과 동일하게 시장에서 거래할 수 있습니다.

 

2천원에 상장해서 12,450원까지 갔던 삼성스팩 5호

 

2. SPAC의 장단점은?

 

​가. 장점

 

SPAC의 장점으로는 원금보장이 대표적입니다.

 

SPAC상장에서 기업합병 사이의 기간에 주식시장에서 마이너스의 수익률을 기록할 수도 있지만, 합병시에 주식매수청구권을 통해 원금보존 및 이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SPAC의 이러한 구조때문에 주식시장에서도 공모가 이하로 잘 내려가지 않습니다.)

 

덧붙여서, 기업합병시에 해당 기업의 가치가 뛰어나거나, 성장가능성이 큰 회사라면 추후 합병 이후 주식 가격의 상승 또한 고려할 수 있으니 기대치가 높은 투자방법으로 제사됩니다.

 

 

나. 단점

 

SPAC의 단점은 바로, 기회비용의 손실입니다.

 

주주의 입장에서는 기업의 합병이 이루어 질 때까지의 긴 시간이 필요합니다.(약 300일가량)

 

이러한 기간동안 특별한 사유 없이는 SPAC의 가격은 공모가에서 크게 변하지 않습니다.

(이 기간동안 금액이 묶이므로 기회비용의 손실이 발생합니다.)

 

 

3. 마무리

스팩주는 유행을 많이 타는 주식입니다. 최근 스팩주(대표적으로 삼성스팩 5호)가 상장이후 승승장구(따상상상+16%!)하다보니 단타성으로 투자를 많이 하는분들이 많이 생겼는데요. 위 내용 참고하셔서 성공적인 투자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이만 마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