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주가 조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보통 주가가 오르고 있는 상황에서 일시적인 하락이 있을때 주식관련 커뮤니티에서 많이 나오는 이야기가 바로 이 조정과 관련된 이야기인데요. 보통 일시적인 조정이니 추가매수 해야된다 식의 표현으로 자주 쓰이고 있는 용어입니다.
1. 조정이란?
조정이란, 주가가 상승하다 어떠한 요인에 의해 상승을 멈추고, 횡보하거나 하락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주식시장에서 기업의 실적, 외부상황이 좋아져 주가가 목표치 만큼 상승하거나, 또는 목표치보다 너무 많이 상승한 경우 투자자들은 이익실현을 위해 주식을 매도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주가는 하락하게 되는데, 이럴 때, 주가가 '하락 조정 받는다'라고 표현합니다.
또한, 위 언급한 사례대로 주가가 하락, 횡보하는 시기를 바로 '조정기간'이라고 부릅니다.
2. 조정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
조정을 받는 대부분의 주식들은 주가가 급등했거나, 지속적으로 상승추세를 보이다가 상승이 멈추면서 다소 하락, 또는 지그재그 형태로 오르락 내리락 반복하는 경우를 보입니다.
이것은 주식이 급등 또는 긴 기간동안 상승했기 때문에 더이상 상승이 어렵겠다고 판단한 투자자들이 이익실현을 위해 매도하는 경우로 해석 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추가 상승을 위한 조정으로 판단, 기업가치에 확신을 가지는 투자자들은 이 시기에 더 매수하기도 합니다.
이처럼 상승기조가 꺾이면서 보합세(시세가 변동없이 일정하거나 약간 오르거나 내리는 추세)를 유지하는 경우 조정국면에 들어섰다고 하며, 상승기조에서 주가가 조정을 보이면 조정 후에 보통 재상승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조정이 길어지면 시장의 탄력성이 줄어들고, 이내 급락하기도 하기때문에 무조건 조정이 재상승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조정기간동안 유입되는 투자금의 규모, 외국인, 기관등의 투자동향을 살피며, 투자전략을 모색하는것이 중요하겠습니다.
3. 조정의 종류
조정의 종류에는 크게 (일시적인 조정, 기술적인 조정) / (근본적인 조정, 기본적인 조정 ) 두가지가 있습니다.
일시적인 조정은 언제든지 나올 수 있으며, 별다른 이유 없이도 나타나기도 합니다.
기술적 조정의 경우 대체적으로 20% 이내의 조정을 뜻합니다.(크게 걱정할 필요가 없을 법한 조정)
근본적인 조정, 기본적 조정의 경우 큰 이슈로 인하여, 지수가 20% 이상을 넘게 조정하는 경우를 뜻합니다.
경제적으로 큰 변화가 생긴경우에 이러한 기본적인 조정이 나타납니다.
예를 들면, 금융시장의 일시적 붕괴, 경제적 큰 문제 발생을 뜻합니다.
근본적인 조정의 경우 기술적,일시적인 조정과는 다르게 회복기간이 상당히 오래 걸립니다.
4. 조정과 횡보의 차이는?
조정의 경우 주가가 상승추세를 이어가다 차익실현 구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경우 수익이 발생한 물량이 시장에 출현되면서 추가 상승세가 잠시 꺾이면서 일정부분 가격 조정이나 기간조정을 거치면서 일정부분 가격이 하락하는 현상을 뜻 합니다.
여기서 추세가 추가적으로 더 떨어진다면 상승추세 마감 하락추세로 전환되는 상황이 발생하며 주가상승 여력이 강하다면 이상황에서 저가에 매수세가 다시 유입되어 추가 고점을 돌파하면서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횡보의 경우 주가의 방향성이 결정되지 않아 매수와 매도세가 비슷한 상황으로 매도와 매수강도가 강할경우와 매도와 매수세가 너무 빈약한 상황에서 발생하며 횡보장에서는 주가가 상승추세나 하락추세로 급변할수 있는 시점을 의미하며, 이때 방향성이 정해지면 추세가 강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물론 추세는 매도세와 매수세의 힘의 균형이 깨질때를 말합니다.
5. 마무리
주가 조정의 의미와 종류, 횡보와 비교 등을 글에서 다루어 봤는데요. 참고하셔서 성공적인 투자 되시길 바랍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고 이만 마치겠습니다!
'경제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07.30]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 (0) | 2021.07.30 |
---|---|
[21.07.26] 감가상각이란? (0) | 2021.07.26 |
[21.07.15] 스팩주란?(SPAC) (2) | 2021.07.15 |
[21.07.14] 기업의 자사주 구매가 호재인 이유 (2) | 2021.07.14 |
[21.07.12] 이동평균선, 이평선이란?(5일선, 20일선, 60일선, 120일선, 240일선) (0) | 2021.07.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