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 포스팅 주제는 이동평균선입니다.
"이동평균선(MA, Moving Average Line)"이란, 일정기간 동안의 주가를 산술 평균한 값인 주가이동평균을 차례로 연결해 만든 선입니다.(하단 그림 참조)
주식시장에서 주가와 거래량 및 거래대금은 매일 매일 변하지만 특정기간을 놓고 보면 일정한 방향성을 지닙니다. 이를 수치화한 것이 이동평균선으로 장기(120일), 중기(60일), 단기(5, 20일) 이동평균선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으며, 5MA, 20MA, 60MA, 120MA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주가이동평균선은 일정기간 동안의 주가를 산술 평균한 값인 주가이동평균을 차례로 연결해 만든 선으로, 주가의 평균치를 나타내는 지표가 됩니다. 주가이동평균은 매일 계산되며, 예를 들어, 어떤 날의 `5일 이동평균'을 계산하려면 해당 날짜를 포함한 최근 5일간의 주가(종가기준)를 합산한 뒤 5로 나누면 된다. 이렇게 나온 매일의 값을 하나의 선으로 연결해 나타낸 것이 바로 `5일 주가이동평균선'이 되므로, 이와 같은 맥락으로 20일, 60일, 120일을 구할 수 있습니다.(요즘은 HTS, 네이버 차트 등에도 이미 기본 설정이 되어 있음으로 굳이 설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이동평균선은 해당 시점에서 주로 시장의 전반적인 주가흐름을 판단하거나, 주가추이를 전망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기술적 지표로써, 이동평균선을 그려나가다 보면 서로 교차하게 되는데, 단기선이 장기선을 뚫고 오르는 경우에는 골든크로스. 아래로 내려가며 만나느 경우를 데드크로스라고 표현합니다.
보통 5일 이평선의 경우, 지표가 되는 경우가 많으니 나머지 이평선들의 경우, 각자의 매매방식에 따라 설정하는 것 또한 방법입니다.
그렇다면, 다음은 각 이동평균선들에 대한 특징을 알아보겠습니다.
5일선
5일선은 주로 단타선이라고도 불리며 심리적 요소가 강하게 적용되는 선으로 사용됩니다. 평균 1주일 동안 어떤 가격이었는지를 보여주는 선입니다. 5일의 평균값을 보여주는 선이므로 주식에서 토,일을 제외하고 장이 열리는 5일이 1주일(월~금)입니다.
20일선
20일선은 한달동안 주가 어떠했는지 보여주는 선입니다. 달력상의 한달은 보통 30일 인데 주식시장의 한달은 20일 입니다. 주말(토, 일)은 제외한 수치입니다. 주로 심리선이라고도 불리는 선이며, 단기 추세를 나타내는 선이라하여 단기추세선 / 단기 생명선이라고도 이야기합니다. 주가가 20일선을 뚫고 올라간다는 것은 최근 주가가 좀 올랐다는 뜻이기도 하기에 20일선을 주의 깊게 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스윙매매에 활용가능)
60일선
60일선은 일명 수급선이라고도 불리며, 평균 3개월 간의 수급선으로 기업의 실적발표 주기에 따라 외인과 기관의 투자여부가 결정된다하여 수급선이라고 합니다. 또는 주식시장에서 세력들이 많이 본다고 하여 지어진 이름이기도 하는데 실제로 60일선을 뚫고 올라갈때 강한 상승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소위, 세력들도 차트를 만들기 때문입니다.)
120일선
120일선은 6개월, 반년간의 가격선으로 요즘의 경기 흐르을 반영해 주는 선이라고 볼수 있어 경기선이라고도 부릅니다. 또는 펀더멘탈선으로서 기업들의 6개월 (반기)결산사이클과 동일하여 경기상황을 예상할수 있다 하여 경기방어선이라고도 합니다. 또한 생명선, 가치선 등으로도 불리우므로 경제상황과 대입하여 보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240일선
240일선은 1년 주기선으로 주가의 장기흐름을 보여주는 선이라서 대세선이라합니다. 사람마다 쓰기도 안쓰기도 하는 선입니다.(대게 사용하지는 않는 선이긴 합니다. 가치투자나 장기투자를 하시는 분이 활용 가능합니다.) 단기적 매매 성향을 가진 사람들은 사용하지 않는 편이므로 자신의 투자성향에 따라, 사용하시기를 권해드립니다.
위와 같이 이번 시간은 이동평균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동평균선은 사실 차트를 보는데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선인데요. 차트분석에 많이 활용되기 때문에 다른 누구보다 단타성향을 지닌 투자자라면 꼭 체크하고 지켜보시며 분석하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이만 마치겠습니다.
'경제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07.15] 스팩주란?(SPAC) (2) | 2021.07.15 |
---|---|
[21.07.14] 기업의 자사주 구매가 호재인 이유 (2) | 2021.07.14 |
[21.07.10] 무상증자란?(feat. 권리락) (0) | 2021.07.10 |
[21.07.09] 유상증자란? (0) | 2021.07.09 |
[21.07.01] 우리가 연금상품을 가입해야하는 이유(연금저축계좌, IRP로 스스로 준비하는 노후!) (3) | 2021.07.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