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116

[21.09.18] 캔들차트에서 꼬리의 의미 봉의 윗꼬리는 매도세력, 아래꼬리는 매수세력을 의미합니다. 주가가 조정을 받을때는 조정을 받을만치 받아야하고 상승할 떄는 상승할만치 상승하면 다시 조정을 받습니다. 조정을 받을때는 내려오는 힘이 밑에서 지지하는 힘보다 강하고 상승할떄는 올라가는힘이 위에서 저항을 하는 힘보다 강합니다. 저점에서 밑꼬리는 매수세력이 나타났다는 뜻이고 저점에서 윗꼬리는 매수세력이 이장중 고가보다 강하게 나타나 결국 매도세력에 밀려 윗꼬리가 나타나고, 저점에서 추세를 위로 돌린 후 윗꼬리가 자주 나타나면 매수세력이 많다는 의미로 상승의 징후이며 고점에서는 윗꼬리는 매도세력을 의미하고 고점에서 밑꼬리는 장중 매도세력이 강하였는데 종가무렵에 매수세력에 밀려 꼬리를 만들었다는 것으로 매도세력이 더 늘어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투자자.. 2021. 9. 18.
[21.09.17] 차트분석 심화(망치형, 교수형, 유선형, 역전된 망치형, 상승 샅바형, 하락샅바형, 장족십자형, 비석십자형, 잠자리십자형) - 망치형 더 이상 주가가 하락하지 않고 상승추세로 돌아설 가능성 많으며, 음선보다는 양선이 나타날 때 신뢰도가 높다. - 교수형 과도한 매수 상태로 앞으로 하락추세로 발전할 가능성 많고, 양선보다는 음선이 나타날 때 신뢰도가 높다. *일반적으로 망치형은 전날보다 상승으로 마감한 것을 말하고 교수형은 전날보다 하락으로 마감한 것을 말한다. - 유성형 상승을 계속하던 추세가 한계에 다다라 곧 하락추세로 반전 될 것을 예고해 주는 신호이다. 대개가 갭을 동반하며 몸체는 작고, 몸체보다 두 배 이상 긴 꼬리가 위로 향해 있는 일봉 모양이다. 양선보다 음선이 나타날 때 신뢰도가 높다. - 역전된 망치형 일봉이 양선이거나 갭을 만들면서 다음날 시가가 전날의 종가보다 높게 형성될 것이라는 강한 추세전환신호로 본다... 2021. 9. 17.
[21.09.13] 주식투자할때 알아두면 좋을 격언들(35~70) 35. 보합시세는 무너지는 쪽으로 붙어라. 보합은 언젠가 한쪽으로 무너지는데 어느쪽으로 무너질지 사전에는 알 수 없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보합시세에서는 주식을 팔아 현금을 보유한 후 보합이 깨어질 때 깨어지는 방향으로 따라 붙는 것이 원칙이다. 36. 천정권의 호재는 팔고 바닥권의 악재는 사라. 주가는 오르는 힘이 다하면 저절로 떨어지고, 장기간 바닥을 굳힌 후 서서히 오르기 시작하는 주가는 어떤 악재가 나와도 오른다. 그러므로 천정권에서 큰 호재로 주가가 폭등하면 팔아야 하고 바닥권에서 악재로 주가가 폭락하면 사야된다. 37. 대세는 오래가도 개별 종목시세는 짧다. 주식시장에서 장기간에 걸친 큰 시세가 나오는 경우에 모든 종목이 함께 상승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우량주가 오르고 다음에 보통주가 오르.. 2021. 9. 13.
[21.09.12] 주식투자할때 알아두면 좋을 격언들(1~35) 1. 주식을 사기 보다는 때를 사라. 주식투자의 가장 큰 목적은 투자 차익에 있다. 최대의 투자 차익 을 남기기 위해서는 사는 시점과 파는 시점의 선택이 가장 중요 하다. 2. 차트는 시세의 길잡이다. 차트를 보지 않고 매매를 하는 것은 맹인이 지팡이를 잡지 않고 길을 걷는 것과 같다. 차트를 노련하게 해석할 수 있으면 70~80% 이상 주식 성공이 보장된다. 3. 숲을 먼저 보고 나무를 보아라. 주가의 일일 번동이나 단기적인 파동만 보고 투자를 하면 시세의 큰 흐름을 보지 못한다. 강물의 잔 파도만 보고 배를 노저어 가면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엉뚱한 곳으로 흘러내려 가고 만다. 먼저 시세의 큰 흐름과 그 배경을 이해하고 그러한 바탕위에서 눈앞의 시세를 해석해야 한다. 증권시장은 흔히 자본주의의 성감대라.. 2021. 9.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