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116

[21.09.23] 하락잉태형 캔들차트(관통형 변화) 1. 하락잉태형 캔들차트의 특징 - 직전의 긴 봉(음봉)에 완전히 감싸이는 작은 봉(양봉)이 출현하는 형태 -> 하라미 형태(Harami) - 두번째 봉이 십자형 캔들(도지(doji))로도 나타남(변형된 형태) -> 몸통이 작을수록 신뢰도가 높으며, 이후, 주가가 하락하지 않는다면 기존의 상승추세가 강화됨 - 명확한 반전 신호인 십자형캔들(도지(doji))이 기존추세의 멈춤신호인 하라미(Harami)의 형태와 결합된 형태 -> 고착화 신호 - 매수 강도가 빠른 속도로 소진되었음을 의미함 - 캔들의 크기보다 위치가 중요하며, 작은 음봉이라해도 매도세가 약해졌다고 판단해서는 안됨 - 십자형 캔들(도지)의 경우, 통상적인 하라미형보다 반전의 신호가 강하며, 빈번하게 출현 ***고착화 신호 : 기존 추세가 굳어.. 2021. 9. 23.
[21.09.22] 상승잉태형, 하락장악형 캔들차트(관통형의 변화) 1. 상승잉태형 캔들의 특징 - 빈번하게 나타나기는 하나, 강한 반전 신호는 아님 - 직전의 긴 봉(음봉)에 완전히 감싸이는 작은봉(양봉)이 출현하는 형태 -> 하라미(Harami) 형태 - 인걸핑 패턴의 반대개념 - 직전의 긴 음봉 후에, 짧은 양봉(또는 음봉) 출현시, 상승반전신호로 해석 - 직전 추세에서 상승반전을 하기보다 조정 양상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으므로 반드시 시장의 분위기를 잘 파악하는 것이 중요 * 인걸핑 : 두번째 봉에 의해 첫번째 봉이 감싸이는 것을 뜻함 * 하라미(Harami) : 일본 고어로 잉태라는 뜻 상승잉태형 캔들이란, 하라미의 몸통이 전일 몸통안에 들어오는것을 뜻합니다. 하라미(Harami)는 기본 추세가 멈췄음을 의미합니다. 먼저, 상승잉태형 캔들은 차트에서 빈번하게 나타.. 2021. 9. 22.
[21.09.21] ETF와 ETN 차이점 및 장단점 비교 1. ETF란? (상장지수펀드 : Exchange Trade Fund) - 특정자산가격(국내외지수,상품 등)의 움직임에 수익률이 연동되도록 설계된 상품. - 거래소에 상장되며, 주식처럼 실시간 매매가 가능한 펀드. - 주식과 인덱스펀드의 장점이 결함된 상품 - 만기가 없는 집합투자증권 2. ETN이란? (상장지수증권 또는 상장지수채권 : Exchange Traded Note) - 특정자산가격(국내외지수,상품 등)의 움직임에 수익률이 연동되도록 설계된 상품 - 거래소에 상장되며, 주식처럼 실시간 매매가 가능한 펀드 - 증권회사가 발행한 만기가 있는 파생결합증권 3. ETF ETN 차이 구분 ETF ETN 기초자산 특정 기초지수 특정 기초지수 구성종목수 5종목 이상 10종목 이상 상장여부 상장 상장 발행주체.. 2021. 9. 21.
[21.09.20] 관통형, 상승장악형 캔들차트(상승반전신호) 이제 2가지 캔들에 대한 해석에 대해서 올리겠습니다. 관통형 캔들의 특징 1. 전일 음봉의 50% 이상의 양봉캔들 발생시 상승반전 신호 2. 하락추세 마지막에 나타남 3. 직전에 명확한 하락추세 또는 양봉이 지지수준에 걸치거나 거래량이 많을 수록 상승반전 가능성 높음. 4. 50% 이상 상향돌파 실패시, 하락지속 5. 양봉의 상향위치가 음봉을 완전히 감싸면 명확한 상승신호로 해석(상승장악형 차트) 관통형 캔들은 전일 종가 아래에서 시가가 형성되며, 종가에서 전일 음봉의 50% 이상의 당일 양봉이 형성되어야 관통형 캔들이라 볼 수 있습니다. 전일 강한 매도세에 의해, 장대음봉이 발생하며 주가가 강하게 하락추세로 이어지고 그에 따라, 그동안 버텼던 개인은 투매로 이어지고, 다음날 시가 갭하락 마지막 투매를 .. 2021. 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