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116 [21.10.13] 집게바닥형 캔들(상승반전캔들), 강세 삼선 반격형(상승지속캔들) 1. 집게바닥형 캔들의 특징 - 하락추세에 있던 두개 또는 그 이상의 캔들이 더 이상의 저점을 갱신하지 못하면서 이전 저가와 동일한 저가를 형성 - 다른 캔들 형태와 중복되어 나타날 확률이 높은 편임 - 일반적으로 지지선 역할을 함 - 동일 저점을 형성하는 캔들의 수가 많을수록 이후에 상승전환 시, 추세가 더 강화되는 특성이 있음 집게바닥형 패턴은, 하락 추세에서 두개 이상의 저점이 일치하는 형태를 말합니다. 더 이상의 저점을 갱신하지 못하면서 이전 저가와 동일한 저가를 형성합니다. 다른 캔들 형태와 중복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일반적으로 지지선 역할을 합니다. 동일 저점을 형성하는 캔들의 수가 많을수록 이후에 상승 전환 시, 추세가 더 강화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2. 강세 삼선 반격형 캔들.. 2021. 10. 13. [21.10.12] 전서구형 캔들(상승반전캔들) 전서구형 캔들의 특징 - 전서구 : 통신에 활용할 수 있도록 훈련시킨 비둘기 - 형태는 상승잉태형과 비슷하나, 두개의 색이 음봉으로 동일한 것이 차이 - 하락추세에 긴 음봉을 나타내고 다음날 높게 시작하였으나 하루종일 전일 거래 범위 안에서 거래가 이루어져 반전의 기회보다 직전의 추세로 회귀하는 모습을 보임 - 많은 시장 참여자로 하여금 시장에서 빠져나가는 기회가 됨 -> 그 다음의 상승반전의 기초가 된다는 점에 의의를 둠 - 매도할 사람은 매도하고 나갔으니, 이제 상승할 것이라는 역설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음 - 상대적으로 빈번하게 나타나며 신뢰도가 높은편임 전서구형 패턴은, 강세반전신호이며, 형태상으로는 약한 반전신호인 잉태형과 유사하나, 두개 봉의 색이 음봉으로 동일하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하락 추세.. 2021. 10. 12. [21.10.11] 애기제비 감추기형 캔들(상승반전캔들) 애기제비 감추기형 캔들의 특징 - 두개의 음 마르보즈(Marunozu)가 연속으로 형성 -> 하락추세가 이어짐을 나타냄 - 세번째 날 낮게 출발하였지만 전 날의 몸통 안까지 반등세가 이어져 긴 윗그림자(꼬리)를 나타냄 - 마지막 날 높게 시작하여 세번째 날을 감싸는 긴 음봉을 형성함 - 이 세번째 날의 봉을 애기제비에 비유함 - 세번째날이 비록 음봉이긴하나 시가보다 높이 거래되어 긴 꼬리를 형성하였다는 점에서 하락추세가 반전하고 있음을 나타냄 - 강한 반전 신호로 장기추세의 변곡점임 *** 마르보즈 : 양(+)마르보즈 = 장대양봉에서 그림자(꼬리)가 없는 경우 음(-) 마르보즈 = 장대음봉에서 그림자(꼬리)가 없는 경우 애기제비 감추기형 패턴은, 두개의 음 마르보즈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하락추세가 이어지.. 2021. 10. 11. [21.10.08] 상승 잉태확인형 캔들(상승반전캔들) 상승 잉태 확인형 캔들의 특징 - 하라미(Harami)형의 확인 형태 - 빈번하지만 강력하지 않은 하라미(Harami)형을 확인하는 강력한 반전 신호. - 하라미형은 기존 추세가 일단락된 후, 향후 추세를 모색하는 단계로 조정 양상을 보임 - 하락추세에서 직전의 긴 음봉 다음에 짧은 양봉(음봉이어도 무방)이 직전의 몸통안에 출현하는 하라미 형을 완성하고, 그 다음날 직전 봉들의 고가를 뛰어넘는 강한 상승세(긴 양봉)를 보이면 상승잉태확인형으로 강력한 상승반전 신호 - 신뢰도가 매우 높으며 패턴이 자주 나타남 ***하라미(Harami) : 일본 고어로, 잉태라는 뜻을 가짐 상승 잉태확인형 패턴은, 빈번하게 나타나지만 강력하지 않은 반전 신호의 대표적인 패턴인 하라미(Harami)형의 확인 형태로 강력한 반.. 2021. 10. 8.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