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주식53

[21.08.31] 권리락이란? 안녕하세요? 오늘은 권리락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지난번 다뤘던 유상증자와 무상증자에 잠깐 언급했는데 그 글도 시간되시면 한번 읽어주시면 좋겠습니다 ㅎㅎ 1. 권리락이란? 기준일 이후에 결제된 주식을 말하며, 기준일 이전에 결재했다면 권리를 행사한 후 권리를 박탈당하게 되는 것입니다. 투자를 하다보면 회사가 증자 또는 배당을 할 때, 기준일 이전의 주식 소유자들에게만 증자,배당을 실시하고 기준일 이후의 매수자들에게는 증자와 배당의 권리가 사라지게 되는 것을 뜻합니다. 2. 언제 발생할까? 권리락은 총 3가지의 경우 발생하게 됩니다. 1. 유상증자 2. 무상증자 3. 배당금(배당금의 권리락을 배당락이라고 표현합니다.) 위 이벤트가 있을때 주식투자자들은 일정기한까지 매수를 해야 권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2021. 8. 31.
[21.08.27] 손익계산서 안녕하세요? 오늘은 손익계산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손익계산서 손익계산서는 재무제표안에 포함되어 있으며, 일정한 기간동안에 기업경영 성과를 보여주는 보고서입니다. 손익계산서는 재무상태표와 함께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기업에서 발생된 모든 수익과 소모된 비용, 손실이 모두 표기되며, 증가와 감소추이를 통해 기업의 현재상황의 과정과 원인을 알 수 있습니다. 먼저, 우리는 매출액을 먼저 접하게 됩니다. 매우 중요하죠? 매출액은 기업에서 영업 활동을 통해 상품, 제품 등을 제공하거나, 팔아 이익을 얻게된 금액입니다. 이 총액수에서 상품과 제품의 원가를 빼면, 매출총이익이 구해집니다. * 매출액 - 매출원가 = 매출총이익 다음은, 영업이익입니다. 매출액 만큼 중요한 부분입니다. 영업이익은 기업의 주된 영.. 2021. 8. 27.
[21.08.26] 차입금이란? 안녕하세요? 오늘은 부채의 한 종류인 차입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차입금이란? 차입금은 회사 재무구조상 부채의 종류 중 하나로, 남의 돈으로 얼마나 레버리지를 일으켰는지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차입금이란 언젠가는 반드시 갚아야하는 이자와 원금상환을 가진 부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부채(빚)는 이자와 원금상환을 전재로하기 떄문에 차입금 자체를 부채와 동일하게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차입금은 부채(빚) 자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 이유는 차입금처럼 상환의무는 존재하나 이자가 지급되지 않는 매입채무나 충당부채 등의 부채가 있기 때문입니다. 원금과 이자를 정해진 기간내에 모두 상환해야 하는 차입금의 존재는 부채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주식 투자에서 투자하.. 2021. 8. 26.
[21.08.24] 코스피와 코스피 계산법(KOSPI) 안녕하세요? 오늘은 코스피의 의미와 코스피 계산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코스피(KOSPI :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종합주가지수) 2학기 기말고사 성적이 1학기 기말고사보다 성적보다 올랐는지 아니면 내렸는지 알고 싶을 때, 우리는 총점을 내거나 평균을 냅니다. 예를 들어 1학기 기말고사의 총점이 2000점이었는데, 2학기 기말고사의 총점이 2100점이라면 성적이 올랐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하지만 반드시 총점으로 성적을 비교할 필요는 없습니다. 평균을 이용해 성적이 얼마나 올랐는지 알아 볼수도 있습니다. 총점으로 성적을 비교하든, 아니면 평으로 성적을 비교하든 그것은 자유입니다. 주가가 과거에 비해 얼마나 뛰었는지 조사하는 주가지수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세계 각국은.. 2021. 8.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