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주식53

[21.09.09] 채권이란? 안녕하세요? 오늘은 채권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채권이란?(채권(債券) : 빚 채(債), 증서 권(券)) 돈 필요할 때 우리는 은행을 찾습니다. 그런데 은행은 모든사람에게 돈을 빌려줄 만큼 호락호락하지 않습니다. 만약 적당한 담보가 없다면 쉽게 돈을 빌릴 수가 없습니다. 마땅히 담보가 없는 상황에서 우리가 의지할 곳은 한 곳밖에 없습니다. 가까운 지인들이죠. 그렇게해서 우리는 직장동료에게, 또는 친구에게 도움을 청합니다. 그리고 돈을 빌려준 고마운 분께 돈을 빌렸다는 증거로 차용증을 써줍니다. 그런데 돈이 필요해 이웃에게, 친구에게 전화를 돌리는 것은 우리 같은 평범한 시민들만 하는 일이 아닙니다. 삼성전자나 현대자동차 같은 회사도 돈이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그리고 이들도 대출이 여의치 않으면 .. 2021. 9. 9.
[21.09.08] 레버리지란? 안녕하세요? 오늘은 레버리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레버리지란? 레버지리(leverage)를 우리말로 번역하면 지렛대(lever)의 힘이 됩니다. 그리고 이러한 레버리지가 경제용어로 사용되면 '빚을 이용한 투자'를 의미합니다. 2.레버리지 효과란? 예를 들어 여러분이 100원을 투자해 100원짜리 집을 샀다고 하겠습니다. 그리고 얼마 후 집값이 10% 뛰어 110원이 되었다고 합시다. 이렇게 되면 여러분은 10%의 수익을 올리게 됩니다. 100원을 투자해 10원을 벌었으니 수익률이 10%가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만약 여러분이 여러분의 돈 100원과 은행에서 대출받은 돈 900원으로 1000원짜리 집을 샀다고 하겠습니다. 그리고 얼마뒤 집값이 10%뛰어 1100원이 되었다고 합시다. 집값은 이전과 .. 2021. 9. 8.
[21.09.07] 현금 및 현금성 자산(CMA, MMF) 안녕하세요? 오늘 다룰 주제는 현금 및 현금성 자산입니다. 1. 현금 및 현금성자산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기업이 가지고 있는 현금과 수표 실물을 포함해, 보통예금, 당좌예금, 양도성예금증서(CD), CMA, MMF 등이 있습니다. 취득 당시 만기가 3개월 이내에 도래하는 것들을 말합니다. 2. 단기금융상품 기업이 보유한 정기예금이나 정기적금 등에서 만기가 1년 이내에 도래하면 단기금융상품으로 분류하고, 만기가 1년 이상인 경우 비유동자산인 장기금융상품으로 분류합니다. 그런데 차입금이 있는 기업들은 토지, 건물과 같은 유형자산이나 단기금융상품과 장기금융상품을 은행에 담보로 제공하기 때문에 여유자금이라고 해도 실질적으로 인출을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재무제표 주석[사용이 제한되거나 담보로 제공된 금융자산].. 2021. 9. 7.
[21.09.06] 이격도란? 안녕하세요? 오늘은 이격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흔히 "이격도가 많이 벌어졌다", "이격도가 많이 좁혀졌다" 등으로 활용되며, 주가와 이동평균선(이평선)의 상태를 표현하는 말이라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1. 이격도란? ​이격도란 주가와 이동평균선 사이의 거리가 얼마나되고, 주가가 이동평균선보다 위나 아래에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격도를 알면 현재 매수,매도 타이밍을 분석할 수 있고, 단기적으로 주가가 과열권인지 침체권에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2. 이격도 계산법 ​이격도 계산법은 당일의 주가(종가)를 당일의 이동평균선으로 나눈 뒤, 100을 곱합니다. 단순하게 100을 기준으로 이격도가 100이라면 주가와 이동평균선이 똑같다는 것을 의미하고, 110이라면 현재가격이 이동평균선보다 10%위에 있다고 보.. 2021. 9.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