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주식53

[21.07.15] 스팩주란?(SPAC) 안녕하세요? 오늘은 스팩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식관련 뉴스(특히 공모주 관련)를 접하다보면 스팩(SPAC)이라는 단어를 접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스팩과는 많이 다릅니다. 그렇다면 지금부터 스팩(SPAC)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SPAC(스팩)(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y)이란? 기업인수목적회사라고 하며 Blank Check Company(백지수표회사), Shell Company(껍데기회사, 즉 유령회사)라고도 합니다. 정해진 기간안에 신규 사업을 인수 하여, 기업을 상장시키는 것이 목적인 회사이며, 상장까지 18개월~24개월 가량의 시간이 소요됩니다. 조건에 따라 36개월 까지도 가능하다고 하네요. ​ IPO(기업공개)를 통해 주식시장에 상.. 2021. 7. 15.
[21.07.14] 기업의 자사주 구매가 호재인 이유 안녕하세요? 오늘은 기업의 자사주 구매가 주가상승 호재인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자사주란? 여러분도 아시다시피 주식은 우리 같은 개인 투자자만 구매하는 것이 아닙니다. 국내외 투자회사(삼성증권, JP모건), 보험회사, 금융기관과 주식상장회사 심지어 연기금(국민연금기금, 사학연금기금 등) 또한 주식투자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주식투자 주체들의 주식투자의 목적은 투자를 통한 수익 창출입니다. 보험회사와 은행을 단편적으로 예를 들면, 우리가 보험에 가입하고 보험료를 내면 보험회사는 그 돈의 일부는 언제 터질지 모르는 사고를 대비해 현금으로 쌓아놓지만, 궁극적 목표인 수익 창출을 위해 각종 채권을 구입하고, 또 얼마는 각종 주식을 구입합니다. 은행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우리가 예금을 하면 언제.. 2021. 7. 14.
[21.07.12] 이동평균선, 이평선이란?(5일선, 20일선, 60일선, 120일선, 240일선) 안녕하세요? 오늘 포스팅 주제는 이동평균선입니다. ​ "이동평균선(MA, Moving Average Line)"이란, 일정기간 동안의 주가를 산술 평균한 값인 주가이동평균을 차례로 연결해 만든 선입니다.(하단 그림 참조) 주식시장에서 주가와 거래량 및 거래대금은 매일 매일 변하지만 특정기간을 놓고 보면 일정한 방향성을 지닙니다. 이를 수치화한 것이 이동평균선으로 장기(120일), 중기(60일), 단기(5, 20일) 이동평균선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으며, 5MA, 20MA, 60MA, 120MA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주가이동평균선은 일정기간 동안의 주가를 산술 평균한 값인 주가이동평균을 차례로 연결해 만든 선으로, 주가의 평균치를 나타내는 지표가 됩니다. 주가이동평균은 매일 계산되며, 예를 들어, 어떤 날.. 2021. 7. 12.
[21.07.10] 무상증자란?(feat. 권리락) 1. 무상증자란? 무상증자는 기업의 잉여금 항목을 자본금으로 이동하기 위한 목적으로 주주들에게 일정비율만큼 주식을 무상으로 나눠주는 것을 말합니다. 통상 기존주주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며 예를들어 1주당 0.1주의 주식을 무상증자 한다고 가정한다면 100주를 가지고 있는 주주는 10주의 주식을 무상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결국 잉여금 또한 기업 자본의 한 항목으로 자본의 총액은 변동이 없습니다. 하지만 주주의 입장에서는 보유주식수가 증가됩니다. 무상증자를 한다는 것 자체가 회사의 잉여자금 있을만큼 돈이 남는다는 것을 전제하기 떄문에 무상증자 이후 주가가 대체적으로 상승하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2. 자본금 총액이 변동이 없는데 주식이 늘어난다?(무상증자의 회계처리 방법은?) 무상증자의 회계처리 과정은 상당히 .. 2021. 7.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