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주린이19

[21.09.07] 현금 및 현금성 자산(CMA, MMF) 안녕하세요? 오늘 다룰 주제는 현금 및 현금성 자산입니다. 1. 현금 및 현금성자산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기업이 가지고 있는 현금과 수표 실물을 포함해, 보통예금, 당좌예금, 양도성예금증서(CD), CMA, MMF 등이 있습니다. 취득 당시 만기가 3개월 이내에 도래하는 것들을 말합니다. 2. 단기금융상품 기업이 보유한 정기예금이나 정기적금 등에서 만기가 1년 이내에 도래하면 단기금융상품으로 분류하고, 만기가 1년 이상인 경우 비유동자산인 장기금융상품으로 분류합니다. 그런데 차입금이 있는 기업들은 토지, 건물과 같은 유형자산이나 단기금융상품과 장기금융상품을 은행에 담보로 제공하기 때문에 여유자금이라고 해도 실질적으로 인출을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재무제표 주석[사용이 제한되거나 담보로 제공된 금융자산].. 2021. 9. 7.
[21.09.06] 이격도란? 안녕하세요? 오늘은 이격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흔히 "이격도가 많이 벌어졌다", "이격도가 많이 좁혀졌다" 등으로 활용되며, 주가와 이동평균선(이평선)의 상태를 표현하는 말이라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1. 이격도란? ​이격도란 주가와 이동평균선 사이의 거리가 얼마나되고, 주가가 이동평균선보다 위나 아래에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격도를 알면 현재 매수,매도 타이밍을 분석할 수 있고, 단기적으로 주가가 과열권인지 침체권에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2. 이격도 계산법 ​이격도 계산법은 당일의 주가(종가)를 당일의 이동평균선으로 나눈 뒤, 100을 곱합니다. 단순하게 100을 기준으로 이격도가 100이라면 주가와 이동평균선이 똑같다는 것을 의미하고, 110이라면 현재가격이 이동평균선보다 10%위에 있다고 보.. 2021. 9. 6.
[21.08.21] PER과 PBR 안녕하세요? 오늘은 가치투자에 있어 중요한 지표가 되는 PER과 PBR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PER : 주가수익률(Price Earning Ratio)​ ​PER(주가 수익률)은 주가를 주당순이익(EPS)으로 나눈 값으로, 여기서 EPS는 당기순이익을 주식 수로 나눈 값입니다. 주당 순이익(EPS · Earning Per Share)은 한 회사가 1년 동안 벌어들인 순이익을 그 회사의 주식 수로 나눈 값으로, 1주당 얼마만큼의 순이익을 냈는가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A사의 1년간 순이익이 1000만 원이고, 총 주식 수가 1만 주라면 A사는 1주당 1000원의 수익을 낸 것이 됩니다. 이때의 1000원이 바로 주당순이익입니다. 만일 A사의 현재 주가가 1만 원이라면 A사의 PER은 주가를 주당.. 2021. 8. 21.
[21.08.19] 모멘텀(momentum)과 펀더멘탈(Fundamental) 안녕하세요? 오늘은 모멘텀과 펀더멘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두 단어 모두 투자 전문가들이 특정 주식의 투자가치나 전망, 추세분석 등에 대해서 이야기 할때 자주 사용합니다. 1. 모멘텀(momentum)이란? 원래 모멘텀은 물질의 운동량이나 가속도를 의미하는 물리학 용어지만 주식투자에서 흔히 주가 추세의 가속도를 측정해 주가의 변동 상황을 이해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쓰입니다. 즉, 주가가 상승세를 타고 있을때 모멘텀의 기울기에 따라 얼마나 더 상승할 수 있는지, 또는 주가가 하락하고 있을 때는 얼마나 더 하락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추세분석의 기초가 됩니다. 변수가 같은 방향으로 변동하려는 경향 즉, 가속률로서 추세분석의 기초가 되며, 증권시장에서는 가격과 거래량의 추세를 분석함으로써 개별증권이나 .. 2021. 8.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