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중소기업 취업 청년의 소득세 감면 혜택과 대상,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정부에서 중소기업에 취업을 한 청년을 대상으로 소득세를 최대 90% 5년 간 감면해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득세 감면 혜택은 연말정산 시 환급 비율을 높여주기 때문에, 결코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닌데요. 이런 소득세 감면은 반드시 신청을 해야지만,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중소기업 취업 청년 소득세 감면에 대해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1. 중소기업 취업 청년 소득세 감면 대상자
중소기업 취업 청년 소득세 감면은 중소기업에 재직 중인 청년을 대상으로 연말정산 시 소득세를 감면해주는 정책입니다. 해당 정책은 조세특례 제한법 30조 규정을 근거로 한 세금 감면제도인데요. 단순히 청년뿐만 아니라, 장애인이나 60세 이상 고령자, 경력단절 여성도 소득세 감면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가. 청년층
중소기업에 재직하는 청년은 취업한날로부터 5년간 소득세 세액 감면을 받습니다. 여기서 청년은 만 15 ~ 34세를 의미하는데요. 군복무자의 경우에는 최대 6년까지 나이 계산에서 제외해줍니다. 군 복무를 2년간 했다면 만 36세까지 해당 제도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취업한 날로부터 5년간 소득세 최대 90%감면을 받습니다. 감면 한도는 150만원입니다.
감면대상자 | 취업연도 | 감면율 | 한도 |
청년 | 2012~2013 | 100% | 없음 |
2014~2015 | 50% | 없음 | |
2016~2017 | 70% | 연간 150만원 | |
2018~2021 | 90% | 연간 150만원 |
나. 노년층
노년층은 근로계약을 체결하는 날을 기준으로 60세 이상일 경우 취업한 날로부터 3년간 소득세 70%감면을 받습니다. 감면 한도는 150만원입니다.
감면대상자 | 취업연도 | 감면율 | 한도 |
노년층 | 2014~2015 | 50% | 없음 |
2016~2021 | 70% | 연간 150만원 |
다. 장애인
장애인 복지법의 적용을 받는 장애인이어야 합니다. 취업한 날로부터 3년간 소득세 70%감면을 받습니다. 감면 한도는 150만원입니다.
감면대상자 | 취업연도 | 감면율 | 한도 |
장애인 | 2014~2015 | 50% | 없음 |
2016~2021 | 70% | 연간 150만원 |
라. 경력단절 여성
중소기업에서 1년 이상 근무한 근로자 중 임신, 출산, 육아 등의 이유로 퇴직한 후 3년~15년내에 다시 취업한 경력단절 여성에게도 소득세 감면 혜택이 있습니다. 단, 해당 중소기업의 최대주주(최대출자자, 대표자)나 그와 특수 관계인이 아니어야 합니다. 취업한 날로부터 3년간 소득세 70%감면을 받습니다. 감면 한도는 150만원입니다.
감면대상자 | 취업연도 | 감면율 | 한도 |
경력단절 여성 | 2017~2021 | 70% | 연간 150만원 |
여기서 중소기업 기준과 제외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중소기업 기준 : 중소기업법상 규정된 중소기업만 해당
- 제외대상 : 대기업 계열사, 공공기관, 병원 등 보건업, 금융업, 법무, 회계 등 전문서비스업 등 제외
2. 소득세 감면 혜택 바로 받아야하는 이유
소득세 감면 혜택은 취업하자마자 바로 신청하는게 좋은데 그 이유는 바로 취업한 날로부터 소득세 감면을 받지 않은 기간도 총 감면기간에 포함되기 때문에 12월에 신청이되었다면 1~11월은 회사생활을 하지않았어도 소득세 감면혜택을 받습니다.
3. 감면 신청 및 확인방법

감면 신청방법은 매우 간단한데요. 감면 대상자가 신청서를 작성하여 회사로 제출하면 됩니다. 그러면 이후의 신청 절차는 회사에서 알아서 진행해줍니다.(개인이 세무서에 신청하는 것은 제한됩니다.) 필요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필요서류
- 주민등록등본
- 근로소득 원천징수 영수증
- 병역증명서(군 복무자의 경우)
본인이 감면을 받고 있는지는 국세청 홈택스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My 홈텍스에서 (연말정산/장려금/학자금) - (중소기업 취업자 감면 명세 조회) 경로를 통해 접속하시면 됩니다. 또한 시기를 놓쳤더라도 경정청구를 통해서 환급금을 받을 수 있으니 중소기업에 재직중이신 분들은 꼭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고 이만 마치겠습니다.
'꿀팁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2.06] 축소된 혜택의 2023 청년내일채움공제 알아보기 (0) | 2023.02.06 |
---|---|
[22.12.28] 높아진 금리, 다시 떠오르는 예금!(예금이자 높은 은행 찾는 법) (0) | 2022.12.28 |
[22.09.08] 침수차 구별하는 방법 (0) | 2022.09.09 |
[22.06.22] 혼자서도 안전하고 편리한 국내여행 팁(당일치기 버스여행) (0) | 2022.06.22 |
[22.06.22] 은행영업시간, 모바일 번호표 발급 총 정리(국민, 신한, 농협, 우리, 하나, 기업, 대구, 부산은행) (0) | 2022.06.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