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주식

[22.09.15] 체결강도 해석하는 법

by 이지야무애 2022. 9. 15.
반응형

1. 체결강도란?

- 체결강도는 주식 매수체결량을 주식 매도체결량으로 나눈값에 100을 곱해 백분율로 나타낸 수치입니다.(매수체결량=매도체결량이면 100%)매수체결량이 매도체결량보다 많으면 100을 초과한 수치가, 매도체결량이 매수체결량보다 더 많으면 100미만 수치가 나옵니다.

 

체결강도가 100아하에서 100이상으로 접어드는 시점은 매수주문이 매도체결량을 넘기기 시작하며 매수세가 강해짐을 의마하고, 반대로 100이상에서 100이하로 내려가게된다면 매도세가 강해진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체결강도는 실제거래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허매수/허매도와 같은 가격 왜곡 없는 실제 거래 매매강세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입니다.

 

추식 체결강도는 실시간으로 행해지는 주식거래의 총 합을 보여주지만 매수세와 매도세라는 두 세력의 힘의 우위를 비교할 수 있게 해주며, 매물에 대한 투자자들의 심리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통상 체결강도는 급등주에 대한 추격매수시 활용되는데요, 주가가 올라갈때 추격매수를 하는 것보다 하락하는 자리에서 거래량의 감소여부를 확인 후 공략하는 방식이 주를 이룹니다.

 

 

2. 체결강도의 구체적 해석

주식을 거래해보신분들이라면 앞서 위에서 말씀드린 개념에 '주식을 사고파는 사람이 동일해서 현재가가 결정되는데 그럼 체결강도가 항상 100이 되어야 하는거 아닌가? 어떻게 차이가 생길 수 있지? '라는 의문을 가지실 수 있습니다. 

 

먼저 체결강도 산정를 이해하기위해서 체결강도의 산정은 현재가를 기준으로 현재가 이상의 매수 거래와 현재가 이상의 매도 거래만을 산정한다는 것을 아셔야겠습니다.

 

주식은 파는 사람이 있다면, 사는 사람이 있기 때문에 가격과 상관없이 언제나 총매도량과 총매수량은 같을 수 밖에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체결강도를 산정할 때에 산정되는 매매는 언제나 가격의 상승을 불러오는 매수량과 가격의 하락을 불러오는 매도량을 사용하여 정확히 더 강한 매수세/매도세를 알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즉, 체결강도의 매수체결량은 매도호가에 매수한 주문만을 포함하고, 매도체결량은 매수호가에 매도한 주문만을 포함합니다.

 

만약, 더 저렴하게 매수하기 위해 현재 거래되고 있는 가격보다 낮은 매수호가에 예약매수 주문을 걸어둔 경우 체결이 이루어졌다면 이것은 매수체결량이 아닌 매도체결량으로 포함된다는 뜻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직접적인 가격변동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거래만을 포함하는 것이 체결강도 계산의 핵심입니다.

 

예를 들어, 매수체결량이 1,000이고 매도체결량이 500이라면 체결강도는 200%로 계산되고, 매수체결량이 높을수록 체결강도(%)가 높아지며, 100보다 큰 경우 매도세에 비해 매수세가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가. 체결강도 > 100일때

  - 매수세가 매도세보다 높은 상황으로 주가 상승 가능성이 높습니다. 투자자의 대부분은 현재가보다 최대한 저렴하게 매수를 하고 싶어함에도 매수호가에 주문을 걸지 않고 매도호가의 물량을 매수하고 있다는 의미로, 현재가보다 가격이 하락할 확률이 낮다고 볼 수 있습니다.

 

나. 체결강도 < 100 일때

  - 매도세가 매수세보다 높은 상황으로 주가 하락 가능성이 높습니다. 투자자의 대부분이 현재가보다 최대한 높게 매도를 하고 싶어함에도 매도호가에 주문을 걸지 않고 매수호가에 물량을 풀고 있다는 것입니다. 즉, 현재가보다 가격이 하락할 확률이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고 이만 마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