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주식

[21.08.19] 모멘텀(momentum)과 펀더멘탈(Fundamental)

by 이지야무애 2021. 8. 19.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모멘텀과 펀더멘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두 단어 모두 투자 전문가들이 특정 주식의 투자가치나 전망, 추세분석 등에 대해서 이야기 할때 자주 사용합니다.

 

1. 모멘텀(momentum)이란?

 

원래 모멘텀은 물질의 운동량이나 가속도를 의미하는 물리학 용어지만 주식투자에서 흔히 주가 추세의 가속도를 측정해 주가의 변동 상황을 이해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쓰입니다. 

 

즉, 주가가 상승세를 타고 있을때 모멘텀의 기울기에 따라 얼마나 더 상승할 수 있는지, 또는 주가가 하락하고 있을 때는 얼마나 더 하락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추세분석의 기초가 됩니다.

 

변수가 같은 방향으로 변동하려는 경향 즉, 가속률로서 추세분석의 기초가 되며, 증권시장에서는 가격과 거래량의 추세를 분석함으로써 개별증권이나 전체시장의 모멘텀을 파악하여 주가를 예측하는 데 이용합니다.

 

모멘텀은 추세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지표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2. 펀더멘탈이란?

 

펀더멘탈(Fundamental)의 사전적인 의미는 "근본적인", "핵심적인", "기본적인"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한 나라의 경제상태를 표현하는데 있어 가장 기초적인 자료가 되는 성장률, 실업률, 경상수지 등의 주요 거시경제지표를 말합니다.

 

이렇게 사전적인 의미만 가지고는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그렇다면, 주식에서 말하는 펀더멘탈은 무엇일까요?

 

해당 기업, 해당 산업군에서 지표들로 해당 기업이 가지고 있는 가치를 뜻합니다.

즉, 매출, 순이익 재무건전성 등과 같은 재무제표상의 지표들과 환율, 금리등과 같은 거시경제지표 등을 나타냅니다.

 

 

3. 펀더멘탈을 기반으로 하는 주식투자?

 

​간단하게 이야기 하자면, 가치투자를 뜻합니다.

 

펀더멘탈을 기반으로 하는 주식투자의 경우 단기적인 어떤 이슈에 의한 주가변동을 이용하여 수익을 얻는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관점에서 기업의 미래 성장성과 수익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일반적으로 저평가된 종목을 매수한 뒤, 시장에서 종목의 가치가 증가했을때 매도하여 수익을 얻는 주식투자 방법입니다.

 

즉, 주식투자에서 펀더멘탈은 해당 기업이 어떤 이슈가 없이도 기본적으로 얼마나 안정적인 수익을 나타내는가?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