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동시호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동시호가란?
동시호가는 증권시장에서 유가증권 매매거래시 동시에 접수된 호가 또는 시간의 선후가 분명하지 않은 호가를 말합니다.
즉, 전장 또는 후장 시작 후 5분간 접수된 호가, 매매 중단 또는 정지되었다가 재개한 후 5분간 접수된 호가, 앞에서 5분간 접수된 호가로 매매가 성립되지 아니한 경우 최초의 가격이 결정될 때까지 접수된 호가, 거래소가 정한 종목의 종가 결정시 시장 종료 전 5분간 접수된 호가 등이 해당합니다.
매매거래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 접수된 대량주문을 공정하게 처리하기 위해 마련한 제도로 이 시간대에 접수된 주문은 동시에 낸 것으로 간주하고 개장과 동시에 단일 가격을 적용하여 일괄적으로 거래를 성사시킵니다.
2. 동시호가 매매방법을 통해 조금 더 쉽게 파악해보겠습니다.
사전적인 의미의 개념은 위의 내용과 같으나, 주식시장에서는 조금 다른 의미로 사용됩니다.
동시호가 매매는 장 시작전, 장 마감 때 주문을 미리 받아서 일괄적으로 처리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동시호가 매매를 원한다면 필요한 매수 매도의 수량, 가격을 결정하면 됩니다.
장시작은 오전 9:00 부터지만 주문은 오전 8:30 부터 할 수 있습니다.
30분동안 모든 주문을 일괄적으로 모은 뒤 9시부터 거래가 체결되는데, 너무 많은 수량이 몰리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주식회사 나름의 주문체결방식을 마련하여 그 순서대로 주문이 체결되도록 프로그램을 만들었습니다.
3. 동시호가 주문 체결 방식은?
1. 가격우선의 법칙 : 낮은 가격의 매도주문과 높은 가격의 매수주문이 우선됩니다.
2. 시간우선의 법칙 : 같은 가격일 때 먼저 주문한 건이 우선됩니다.
3. 수령우선의 법칙 : 동일 시각에 주문하여도, 수량이 많은 주문이 우선됩니다.
4. 위탁우선의 법칙 : 위탁하여 거래하는 거래자의 주문이 우선됩니다.
* 가격 → 시간 → 수량 순서입니다.
4. 동시호가 매매 존재이유는?
거래는 주로 장초에 많이 몰리며, 밤사이에 일어나는 이슈(미국 증시 영향)들로 대량 주문 폭주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한번에 주가에 반영시 주가 왜곡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동시호가 매매 주문 체결 방식을 통해 일괄처리 합니다.
'경제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08.20] 환율과 주가의 상관관계 (0) | 2021.08.20 |
---|---|
[21.08.19] 모멘텀(momentum)과 펀더멘탈(Fundamental) (0) | 2021.08.19 |
[21.08.12] 재무상태표(자본과 자본잠식) (0) | 2021.08.12 |
[21.08.11] 재무상태표(자산과 부채) (2) | 2021.08.11 |
[21.08.05] 컨센서스(consensus)는 무슨 뜻일까? (0) | 2021.08.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