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주식

[21.09.08] 레버리지란?

by 이지야무애 2021. 9. 8.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레버리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출처 : 나무위키

1.레버리지란?
레버지리(leverage)를 우리말로 번역하면 지렛대(lever)의 힘이 됩니다.
그리고 이러한 레버리지가 경제용어로 사용되면 '빚을 이용한 투자'를 의미합니다.

 


2.레버리지 효과란?
예를 들어 여러분이 100원을 투자해 100원짜리 집을 샀다고 하겠습니다. 그리고 얼마 후 집값이 10% 뛰어 110원이 되었다고 합시다. 이렇게 되면 여러분은 10%의 수익을 올리게 됩니다. 100원을 투자해 10원을 벌었으니 수익률이 10%가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만약 여러분이 여러분의 돈 100원과 은행에서 대출받은 돈 900원으로 1000원짜리 집을 샀다고 하겠습니다. 그리고 얼마뒤 집값이 10%뛰어 1100원이 되었다고 합시다. 집값은 이전과 동일한 수준(10%)로 뛰었지만 1100원을 받고 집을 판 후, 은행대출금 900원을 갚고 나면 여러분 주머니에는 200원이 떨어집니다. 여러분의 투자 원금이 100원이었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순순하게 벌어들인 돈이 100원이나 됩니다. 100원을 투자해 100원을 벌었으니 수익률이 100%가 됩니다.

집값은 10%밖에 오르지 않았지만, 빚을 이용해 큰집을 구입한 덕분에 100%의 수익을 올리게 된것입니다. 이렇게 빚을 이용해 원래 자본금보다 더 큰 수익을 내는 것을 경제학적인 표현으로 레버지리 효과라 합니다.

 

출처 : 박호두 유튜브


3.레버리지 비율이란?
레버지리 비율은 전체 투자금액을 내가 투자한 금액으로 나눈 것입니다.

- 레버지리비율 = 전체 투자금액/ 내돈

예를 들어 내돈 100원과 은행대출금 900원으로 1000원짜리 집을 샀다면 레버지리비율은 10이 됩니다. 만약 은행대출을 받지않고 순수한 내 돈 100원으로 100원짜리 집을 샀다면 레버지리 비율은 1이 됩니다.

 


4.레버리지 비율의 의미
레버리지 비율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남의 돈을 많이 사용했다는 의미입니다. 이렇게 빚으로 한 투자가 어떤 결과를 가져 올지는 쉽게 예상할수 있습니다. 성공하면 다행이지만, 예상이 아주 살짝만 빗나가도 그 손실은 장난 아닙니다.

예를 들어 내돈 100원과 은행대출금 900원으로 1000원짜리 집을 샀는데, 집값이 10% 하락해 900원이 되었다고 합시다. 이렇게 되면 집을 팔아 은행대출금을 갚고 나면 내돈은 한푼도 남지않게 됩니다. 집값이 고작 10% 밖에 하락하지 않았는데 내 돈이 100% 날아가 버린것입니다.

 

출처 : 문화일보


따라서 빚을 이용해 투자를 할때는 항상 조심을 해야합니다. 아주 살짝 빗나간 예상이 내 전재산을 집어 삼킬수 있기 때문입니다. 요즘 특히 월급으로 집 못산다는 마인드가 커져서 레버리지를 많이 쓰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본인이 정말 전문가가 아니라면 투자는 항상 여유자금으로 하시되 레버리지(미수)를 이용하지않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일반인들은 빚에 대한 압박으로 정상적인 투자를 못할 가능성이 매우 커지게되기 때문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이상으로 마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