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주식

[21.06.25] 주식고수들도 잘 모르는 ETF 투자팁!(국내 ETF vs 해외 ETF, 세금절세방법)

by 이지야무애 2021. 6. 25.
반응형

안녕하세요? 요즘 ETF관련 글을 많이 올리는데요. 상품에 대한 공부만 하다 정작 본인에게 적절한 ETF 투자방법을 찾지 못해

 

더 많은 세금을 내고 계시는 분들이 있으셔서 오늘은 효율적인 투자를 위한 ETF 투자팁 알려드리겠습니다.

1. 세금관련 정리(미국 ETF vs 한국 ETF)

 

- 미국 주식(ETF 포함) 세금 시스템 : 매매 차익의 250만원까지는 양도소득세를 부과하지 않습니다. 한 해에 미국 주식과 ETF를 합쳐서 번 돈이 250만원보다 많으면 250만원을 초과한 금액에 대해 22%의 세금을 냅니다.

 

- 국내 ETF 세금 시스템 : 국내 상장 ETF는 국내 주식에 투자하는 ETF를 빼고 매매차익에 대해 15.4%의 배당소득세를 내야합니다(국내채권, 해외주식, 해외채권, 원자재 ETF 등이 여기 해당합니다.)

 

***세율만 단순 비교하면 미국 상장 ETF에 투자하는 것이 국내 ETF투자에 비해 불리해보이지만 자세히 보면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국내 상장 ETF는 다른 상품의 수익과 손실을 합쳐서 계산해주지 않습니다.(한 ETF에서 200만원 손해를 봐도 다른 ETF에서 100만원 수익이 나면 세금을 매깁니다.) 반면 미국은 주식과 ETF 투자 손익을 합쳐 계산해줍니다.

 

또 국내 상장 ETF에서 번 돈과 이자, 배당 등을 합쳐 연간 2000만원이 넘으면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이 됩니다.

 

정리 : 예상 수익이 833만원보다 적은 투자자나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이라면 해외에 상장한 ETF를 투자하는 게 유리하고, 833만원 이상일 경우는 국내상장 해외ETF가 유리하겠습니다.

***833만원은 국내 ETF 기준 15.4%의 배당소득세를 낼 때와 미국 ETF 기준 250만원 공제 후 22% 양도소득세를 내는 게 같아지는 금액입니다.

 

 

2. 국내 ETF관련 팁

- ETF 뒤에 TR이 붙은 ETF는 투자자에게 배당금을 안주고 배당금을 다시 해당 투자분야에 재투자하는 상품입니다.

***TR이 토탈리턴의 약자로 배당없이 재투자한다는 의미입니다.

(TR이 붙은 ETF는 일반계좌로 장기투자할때 좋습니다. 배당이 없어서 세금없고 대신 재투자 복리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단, 대신 매도시에 세금이 붙으니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 세금을 줄일수 있는 방법 획기적인 방법 : 연금저축계좌 이용 ETF 투자!

연금저축계좌를 이용하면 etf에서 배당수익이나 매매차익에 대해서 비과세가 적용됩니다. 그리고 연말정산 소득공제 혜택도 있습니다. 

 

단, 55세까지 계좌를 유지해야 합니다 그래서 초 장기투자를 할때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연금받을때는 3.3~5.5%(70세 이상 4.4%, 80세 이상 3.3%) 세금이 붙습니다. 

 

반드시 알고 계셔야 할 것이 연금계좌서 수령시 개인연금 수령액이 연 1200만원(월 100만원 이상)이 넘어가면 종합소득세에 포함되어 개인 소득 수준에 따라 (16.5%~49.5%)의 세금이 붙습니다.

*** 55세 이후 찾을때 연금 수령과 연금외 수령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본인이 고소득자 및 연급 예정 수령액이 월 100만원 이상인 경우 연금 수령보다 연금 외 수령이 유리합니다.

 

그 이유는 연금 수령의 경우 소득수준과 연금 예정 수령액에 따라 최대 46.2% 세율이 적용되지만 연금외 수령을 하게되면 16.5% 세율로 끝나기 때문입니다.(무조건적으로 연금수령 → 절세가 아닙니다.)

 

*** 혹시나 급한돈이 필요해 연금계좌에 있는 돈을 찾아야 할때는 계좌 해제말고 정지하고 여유가 되실때 다시 살리기를 바랍니다. 해제시 비과세가 아닌 일반계좌와 동일한 세율에 의해 손실이 발생합니다.

 

3. 마무리

ETF 투자팁을 정리했는데요. 저는 삼성증권 연금저축계좌로 연 400만원 국내상장 해외 ETF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저에게 맞는 소득공제 기준인 연 400만원 한도에서 하고 있는데요. 한번에 400만원을 넣고 투자해도 되고, 1년을 12개월로 나누어 월 34만원을 내도 되고, 어찌됬든 400만원만 넣으면 됩니다. 꿀팁 참고하셔서 성공적인 ETF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이만 마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