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캔들차트24

[21.09.23] 하락잉태형 캔들차트(관통형 변화) 1. 하락잉태형 캔들차트의 특징 - 직전의 긴 봉(음봉)에 완전히 감싸이는 작은 봉(양봉)이 출현하는 형태 -> 하라미 형태(Harami) - 두번째 봉이 십자형 캔들(도지(doji))로도 나타남(변형된 형태) -> 몸통이 작을수록 신뢰도가 높으며, 이후, 주가가 하락하지 않는다면 기존의 상승추세가 강화됨 - 명확한 반전 신호인 십자형캔들(도지(doji))이 기존추세의 멈춤신호인 하라미(Harami)의 형태와 결합된 형태 -> 고착화 신호 - 매수 강도가 빠른 속도로 소진되었음을 의미함 - 캔들의 크기보다 위치가 중요하며, 작은 음봉이라해도 매도세가 약해졌다고 판단해서는 안됨 - 십자형 캔들(도지)의 경우, 통상적인 하라미형보다 반전의 신호가 강하며, 빈번하게 출현 ***고착화 신호 : 기존 추세가 굳어.. 2021. 9. 23.
[21.09.22] 상승잉태형, 하락장악형 캔들차트(관통형의 변화) 1. 상승잉태형 캔들의 특징 - 빈번하게 나타나기는 하나, 강한 반전 신호는 아님 - 직전의 긴 봉(음봉)에 완전히 감싸이는 작은봉(양봉)이 출현하는 형태 -> 하라미(Harami) 형태 - 인걸핑 패턴의 반대개념 - 직전의 긴 음봉 후에, 짧은 양봉(또는 음봉) 출현시, 상승반전신호로 해석 - 직전 추세에서 상승반전을 하기보다 조정 양상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으므로 반드시 시장의 분위기를 잘 파악하는 것이 중요 * 인걸핑 : 두번째 봉에 의해 첫번째 봉이 감싸이는 것을 뜻함 * 하라미(Harami) : 일본 고어로 잉태라는 뜻 상승잉태형 캔들이란, 하라미의 몸통이 전일 몸통안에 들어오는것을 뜻합니다. 하라미(Harami)는 기본 추세가 멈췄음을 의미합니다. 먼저, 상승잉태형 캔들은 차트에서 빈번하게 나타.. 2021. 9. 22.
[21.09.20] 관통형, 상승장악형 캔들차트(상승반전신호) 이제 2가지 캔들에 대한 해석에 대해서 올리겠습니다. 관통형 캔들의 특징 1. 전일 음봉의 50% 이상의 양봉캔들 발생시 상승반전 신호 2. 하락추세 마지막에 나타남 3. 직전에 명확한 하락추세 또는 양봉이 지지수준에 걸치거나 거래량이 많을 수록 상승반전 가능성 높음. 4. 50% 이상 상향돌파 실패시, 하락지속 5. 양봉의 상향위치가 음봉을 완전히 감싸면 명확한 상승신호로 해석(상승장악형 차트) 관통형 캔들은 전일 종가 아래에서 시가가 형성되며, 종가에서 전일 음봉의 50% 이상의 당일 양봉이 형성되어야 관통형 캔들이라 볼 수 있습니다. 전일 강한 매도세에 의해, 장대음봉이 발생하며 주가가 강하게 하락추세로 이어지고 그에 따라, 그동안 버텼던 개인은 투매로 이어지고, 다음날 시가 갭하락 마지막 투매를 .. 2021. 9. 20.
[21.09.11] 주식 캔들차트 분석법(망치형, 교수형, 상승샅바형, 십자형, 비석형, 유성형, 장대양봉형, 장대음봉형) 망치형 캔들 망치형은 장중 매도세가 출현 했으나, 장 마감 무렵에 저가 매수세가 등장. 매도세를 완전히 압도하면서 나타나는 유형입니다. 바닥권에서 나타나면 추세 반전의 신뢰도가 높은 형태 입니다. 교수형 캔들 교수형은 하락세지만 저가 매수세가 출현해서, 주가를 밀어 올린 형태입니다. 바닥권에서 나타나면 추세 반전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아래 꼬리가 길수록 신뢰도가 높습니다. 상승 샅바형 캔들 상승 샅바형 캔들은 주가의 상승을 나타내지만 장중 고가권에서 매도세가 다소 나타난 형태입니다. 주가의 수준이 고가권이라면 하락 반전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십자형 캔들 십자형 캔들은 영어로 도지(doji) 캔들이라고 한다. 도지라는 표현도 많이 사용됩니다. 십자형은 몸통이 거의 없는 경우로, 시가와 종가의 가격이 같을 .. 2021. 9.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