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식차트27 [21.10.27] 하락 십자 잉태형(하락반전캔들) 하락 십자 잉태형 캔들의 특징 - 직전의 긴 봉에 완전히 감싸이는 작은 봉이 나타나는 하라미(Harami)형태임 - 두번째 봉이 십자형(도지) - 명확한 반전 신호인 십자형(도지)이 기존 추세의 멈춤신호인 하라미 형태와 결합 -> 고착화 신호라고 부르기도 함 - 기존 추세가 돌처럼 굳어지고 조만간 추세가 바뀐다는 강한 의미임 - 통상의 하라미형보다 반전의 신호가 강하며 빈번히 출현함 *** 상승 십자 잉태형보다 하락 십자 잉태형의 신뢰도가 더 높음 *** 하라미(Harami) : 일본 고어로, 잉태라는 뜻을 가짐 *** 고착화 신호 : 기존 추세가 굳어, 조만간 추세가 바뀐다는 강한 의미를 뜻함 하락 십자 잉태형 캔들은, 형태상으로는 직전의 긴 봉에 완전히 감싸이는 작은 봉이 나타나는 하라미(Harami.. 2021. 10. 27. [21.10.22] 십자 석별형 캔들(하락반전캔들) 십자 석별형 캔들의 특징 - 대표적인 하락반전형으로 발생빈도가 매우 높음 - 상승추세에서 긴 양봉이 발생한 후, 다음날 상승 갭을 두고 십자형 도지(Doji)가 생김 -> 여기까지는 전형적인 상승십자형(불리쉬 도지 스타(Bullish Doji Star))로 추세반전을 의미함 -> 도지스타로 기존 추세의 전환을 알 수 있음 - 그 다음날 음봉이 발생하면 하락반전캔들-십자석별형으로 하락 반전에 대한 신뢰도가 높암 - 하지만 하락반전캔들 십자석별형 이후에 발생하는 음봉의 유무도 매우 중요하므로 반드시 확인과정을 가져야함 - 하락반전캔들-십자석별형 이후에 양봉이 발생하며 도지스타 추세로 반전의 의미가 사라짐 십자 석별형 패턴은, 대표적인 하락반전 형으로 발생빈도가 매우 높은 패턴입니다. 형태는 우선 상승추세에.. 2021. 10. 22. [21.10.17] 상승 삼법형 캔들(상승지속캔들) 상승 삼법형 캔들의 특징 - 상승추세 도중에 긴 양봉을 형성한 후, 작은 몸통을 가진 음봉이 연속적으로 출현 * 대부분 투자자들이 하락 전환을 예상함 - 하지만, 이전에 연속으로 나타난 작은 몸통을 가진 음봉들을 모두 포함하는 새로운 긴 양봉이 나타남으로써, 새로운 신고가를 형성하는 상승추세가 지속 - 이는 장세가 장기 하락한 뒤의 상승초기나, 장기 상승 후 신고가를 형성할 때 장세의 지속여부를 회의하는 심리적인 배경이 생겨남 - 지속 여부에서 중요한 부분은 마지막 날의 양봉이 직전 캔들들을 얼마나 감싸는지의 정도임 상승 삼법형 패턴은, 상승추세 도중에 긴 양봉을 형성한 후, 작은 몸통을 가진 음봉이 연속적으로 출현함으로써,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하락전환을 예상하게 됩니다. 하지만, 작은 몸통 연속 출현후.. 2021. 10. 17. [21.10.16] 상승 갭 삼법형 캔들, 상승 나란히형 캔들(상승지속캔들) 1. 상승갭 삼법형 캔들의 특징 - 상승지속캔들-상승갭 타스키형과 비슷함 - 마지막 캔들이 앞서 형성된 갭(Gap)을 메운다는 점이 다름 - 강한 상승추세 속에서 잘 나타남 - 두개의 긴 양봉과 상승 갭이 이를 잘 뒷받침함 - 둘째날의 양봉은 반드시 갭을 형성해야함 - 셋째날의 음봉은 반드시 갭을 메워야 함 -> 통상적으로 이러한 갭을 메우기는 추세 강화의 한 형태로 볼수 있음 -> 즉, 기존 상승추세가 이어진다고 해석 가능함 상승 갭 삼법형 패턴은, 상승 갭 타스키형과 유사한 형태이나, 마지막 봉이 앞에서 형성된 갭을 메운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강한 상승추세에서 잘 나타나며, 두개의 긴 양봉과 상승 갭이 이를 뒷받침해주고 있습니다. 둘째날의 양봉은 반드시 갭을 형성해야 하고, 셋째날의 음봉은 반.. 2021. 10. 16. 이전 1 2 3 4 5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