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주식차트 관련 포스팅입니다.
1. 지지선와 저항선 특징
- 지지선 : 주가하락이 어느 선에서 더 이상 계속되지 않고 반등을 줄 수 있는 선
- 저항선 : 주가상싱이 어느 선에서 견제되거나 멈추는 선
지지와 저항(지지선과 저항선)은 차트분석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지지와 저항에는 투자자들의 심리가 드러나기 때문입니다. 지지는 주가가 더 내려가지 못하게 지지해주는 가격대를 의미하고, 저항은 주가가 더 올라가지 못하게 막고있는 가격대를 의미합니다.
2. 지지와 저항을 확인하는 법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바로 '수평추세선'을 그리는 것입니다.
수평추세선을 그리는 방법은 먼저 차트에서 주가가 어느 가격대에서 상승하지 못하고 내려오고, 며칠 뒤 비슷한 가격대를 도달했음에도 불구하고 다시 상승하지 못하고 내려오는 지점들이 있습니다. 그런 캔들의 고점이나, 윗꼬리 등을 선으로 그립니다.(딱 맞아 떨어지면 좋겠지만, 그렇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마찬가지로 주가가 하락하다가 어느 가격대에서 상승하고, 며칠 뒤 같은 현상이 반복되는 지점을 찾아 수평추세선을 그립니다. 위의 자료를 살펴보면 어느 정도 일치하는 구간들을 선으로 그어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파란색으로 '박스권'이라는 말은 주가가 일정한 가격대 내에서 벗어나지 않고 오르락내리락 하며 횡보하는 모습을 보이는 구간을 뜻합니다. 자료를 잘 살펴보면 첫 지지구간에서 주가가 올라가다 일정한 위치에 도달하면 내려옵니다. 이렇게 박스권 내에서 가격이 횡보하다 마지막 저항을 뚫고 올라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렇게 저항선을 뚫고 상승하는 순간 기존의 저항선은 이제 지지선의 역할을 하게 됩니다.
저항선이 지지선이 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주식은 심리가 중요합니다. 많은 사람들의 심리가 차트에 녹아 캔들로 나타나기 때문에 이처럼 '지지와 저항'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그럼 어떠한 심리가 녹아들었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가정: 첫지지 구간의 가격은 10,000원으로 하고, 저항의 가격은 13,000원으로 한다.
우리가 첫지지 구간 10,000원에서 매수를 해 13,000원 부근까지 올라갔다면 어떤 판단을 하게될까요? 누군가는 이제 더 오르지 않겠다고 생각해 전부 매도하여 수익실현을 하기도 하고, 누군가는 분할매도를 통해 지속적으로 수익을 취하는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우리가 주식을 하는 이유는 당연히 '수익실현'이 목표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매도세가 매수세를 이기는 현상(저항)이 나타나고, 주가는 더 오르지 못하게 됩니다. 10,000원에서 상승세를 가지고 13,000원까지 가던 주식이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심리에 의해 저항을 맞고 하락하고 다시 10,000원대 구간으로 내려옵니다.
그럼 우리는 다시 10,000원에 매수하면 다시 수익을 낼 수 있다는 마음에 매수에 참여합니다. 그리고 그 전에 10,000원대에 매수하지 못한 사람들도 매수에 참여하며 수익실현을 꿈꿉니다. 이러한 심리가 작용하여 강력한 매수세가 형성되고 매도세를 이기며 지지하는 현상이 생겨납니다. 이렇게 상황은 매수/매도를 반복하며 박스권을 형성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마지막 구간처럼 강한 매수세로 저항선을 뚫고 올라가면 다음부터는 13,000원이 지지선이 되는 것입니다.
주가는 더욱 올라 15,000원이 되고 다시 새로운 저항을 맞고 하락합니다. 이후 박스권은 13,000원에서 15,000원대가 형성되는 것입니다.
차트에서 지지와 저항을 찾을 때 우리는 차트의 월봉으로 해당 종목의 상장시점부터 현재까지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고, 주 봉상 최근 추세를 눈여겨 보고, 일봉상 현재가격대의 위치를 확인합니다. 이렇게 확인하는 이유는 지금이 높은 가격대인지 낮은가격대인지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서입니다. 다음으로 일봉차트로 이동평균선은 표시하지 않고, 지지와 저항 구간을 수평추세선으로 그어 표시해봅니다. 같은 방법으로 주봉, 월봉 등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지지와저항 구간을 수평추세선을 그어 표시합니다.
각 차트별 그어진 직선추세선의 정보들을 종합해보면 현재 눈에 잘안들어오는 지지와 저항 구간들을 구분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이동평균선과 대각선추세선, 매물대 등을 활용하여 더욱 구체적인 지지와 저항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고 성공적인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이만 마치겠습니다.
'경제 > 주식차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9.03] 눌림목이란? (0) | 2022.09.03 |
---|---|
[22.09.03]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 (0) | 2022.09.03 |
[21.11.10] 하락 나란히형, 하락 삼법형, 하락 타스키 갭형, 약세삼선반격형 캔들 (하락지속캔들) (0) | 2021.11.10 |
[21.11.09] 걸침형, 진입형, 하락갈림길형, 하락갭삼법형 캔들(하락지속캔들) (0) | 2021.11.09 |
[21.10.22] 십자 석별형 캔들(하락반전캔들) (0) | 2021.10.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