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하락 나란히형 캔들의 특징
- 매우 드물게 나타나는 지속형 패턴
- 하락추세에서 매도를 한 세력이 커버링을 하기 때문에 생기는 모습
(둘째날 셋째날 양봉) -> 하지만 상승시도가 호응을 받지 못함
(둘째날 셋째날 시가 비슷) -> 기존의 하락추세가 이어지는 것으로 봄
- 캔들의 길이보다 갭(Gap)을 형성하는 것과 비슷한 시가를 형성한다는 점이 중요함
하락 나란히형 패턴은,
지속형 패턴이지만 매우 드물게 나타납니다.
하락추세에서 수익을 거둔 매도세력이 커버링하기 때문에 생기는 모습입니다만, 상승시도가 호응을 받지 못하기 때문에 하락추세는 이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봉의 길이보다는 갭을 형성한다는 점과 비슷한 시가를 나타낸다는 점이 더 중요합니다.
2. 하락 삼법형 캔들의 특징
- 하락추세 도중에 긴 음봉을 형성한 후, 작은 몸통을 가진 양봉이 연속적으로 출현
***이때, 대부분의 투자자들이 상승전환을 예상함
- 하지만, 이전에 연속으로 나타난 작은 몸통을 가진 양봉들을 모두 포함하는 새로운 긴 음봉이 나타남으로써, 새로운 신저가를 형성하는 경우 하락추세가 지속
- 이는 장세가 장기 상승한 뒤의 하락 초기나, 하락추세중 신저가를 형성할때 장세의 지속여부를 회의하는 심리적인 배경이 생겨남
- 지속 여부에서 중요한 부분은 마지막 날의 음봉이 직접 캔들들을 얼마나 감싸는지의 정도임(변형된 형태도 많음)
하락 삼법형 패턴은,
하락추세 도중에 긴 음봉을 형성한 후, 작은 몸통을 가진 양봉이 연속적으로 출현함으로써,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상승전환을 예상하게 됩니다.
하지만, 작은 몸통 연속 출현후, 지금까지의 몸통들을 모두 포함하는 긴 음봉이 나타나는 형태입니다.
신저가를 형성하는 경우, 추세가 지속된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장세가 장기상승한 뒤의 상승초기나, 하락추세 중 신저가가 형성될 때, 장세의 지속 여부를 회의하는 심리적 배경 때문에 생겨나는 것입니다.
지속 여부에서 중요한 부분은 마지막 날의 양봉이 직전봉들을 어느정도 감싸냐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참고로 변형된 형태도 많으니,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3. 하락 타스키 갭형 캔들의 특징
- 하락지속캔들 - 하락 갭 삼법형의 형태와 비슷함
- 하락추세에서 하락 갭(Gap)을 형성하면서 음봉이 나타남
- 뒤를 이어, 양봉이 발생함
- 이 양봉의 시가는 직전 음봉의 거래 범위 안에 있으며, 종가는 직전 거래 양봉 아래에서 형성함(이를 타스키 갭(Tasuki Gap)이라고 함)
- 이전에 발생했던 하락 갭을 마지막 양봉이 메우지 못하는 경우 하락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해석가능함 -> 기존의 하락 갭을 메우지 못할 만큼 더 이상의 상승이 없다고 보고, 하락 추세가 지속된다고 해석할 수 있음.
- 마지막 양봉의 종가 지점에서 매도, 공매도, 전매도 하는 것도 무방함
하락 타스키갭형 패턴은,
하락 갭 삼법형과 유사한 형태이나, 마지막 봉이 앞에서 형성된 갭을 메우지 못한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하락추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하락 갭(Gap)을 형성하며, 음봉이 나타나고 이 뒤를 이어 양봉이 발생합니다.
이 양봉의 시가는 직전 음봉의 거래범위에 있으며, 종가는 직전 음봉의 거래범위 아래에서 형성됩니다.
이것을 타스키 갭(Tasuki Gap)형이라고 합니다.
이 전에 발생했던 하락 갭(Gap)을 마지막 양봉이 메우지 못하면서 기존 하락추세가 지속될 것이라 예고합니다.
이유는 기존의 하락 갭(Gap)을 메우지 못할 만큼 더이상의 상승할 힘이 없다고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마지막 양봉의 종가수준을 매도하는 시점으로 판단해도 무방합니다.
※ 하락 타스키 갭형과 하락 갭 삼법형의 차이
하락 타스키 갭형은 양봉이 갭을 메우지 못함.
하락 갭 삼법형은 양봉이 갭을 메움.
4. 약세 삼선 반격형 캔들의 특징
- 바보 흑삼병이라고 불림
- 하락추세에서 연속 급락에 따른 반발매수
- 일시적인 상승 현상
- 네번째 날의 긴 양봉의 시가는 신저가를 형성하나, 종가는 이전 3개의 음봉 고점위에서 마감
- 현물 시장에서는 반발 매수나 반등시도 때문에, 선물 시장에서는 환매수에 기인하는 경우가 많음
- 단기 반등으로 인해 강세 반등의 기세가 소진되어, 하락이 지속되는 것으로 보나, 반드시 마지막날의 거래량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함.
약세 삼선 반격형 패턴은,
하락추세 중에 연속 급락에 따른, 반발매수로 일시적인 상승현상을 보입니다.
네번째날의 긴 양봉은 시가가 신저가를 형성하나, 종가는 3개 음봉의 고점 위에서 마감될 때 나타나는 패턴입니다.
현물시장에서는 반발매수나 반등시도 때문이고, 선물시장에서는 환매수에 기인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단기반등으로 인해 강세 반전의 기세가 소진되고, 하락추세가 지속되는 것입니다.
마지막날의 거래량을 반드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패턴 속의 흑삼병은 의미가 퇴색되기 때문에 바보흑삼병형이라고도 불립니다.
'경제 > 주식차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9.03]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 (0) | 2022.09.03 |
---|---|
[22.09.02] 차트의 지지와 저항(지지선과 저항선) (0) | 2022.09.02 |
[21.11.09] 걸침형, 진입형, 하락갈림길형, 하락갭삼법형 캔들(하락지속캔들) (0) | 2021.11.09 |
[21.10.22] 십자 석별형 캔들(하락반전캔들) (0) | 2021.10.22 |
[21.10.17] 상승 삼법형 캔들(상승지속캔들) (0) | 2021.10.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