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조심해야 할 마케팅 치과와 치과의사 학력 관련 포스팅입니다.
요즘 나이가 젊은 치과의사들이 이력에 '통합 치의학 전문의'라고 꼭 '전문의'라는 호칭을 강조하면서 병원 홈페이지나 블로그, 유튜브에 광고를 하는 치과의사들이 많습니다. 또한 보통 이런 치과의사들은 '통합 치의학 전문의'라는 호칭을 강조하며 치과 이력에 자신이 어느 대학교(학사), 대학원(석사, 박사)에 나왔는지 기재하지 않고 '~과정 연수', '~과정 이수', '~협회 정회원'등의 경력만 많이 적어 놓기 일수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경력만 있는 치과는 가장 조심해야 하고, 해당 치과에서의 진료 자체를 피할 것을 가급적 추천드립니다.
현재 치과 의료업계 쪽이 포화시장 상태이기 때문에 신규 개업의와 기존 치과 의사들 간에 경쟁이 심한 편입니다. 대학병원에서 수년간 레지던트 생활과 전공의를 거쳐 풍부한 임상 경험을 갖추지 않은 경험이 부족한 젊은 의사들이 개원을 해서 '통합 치의학 전문의'라는 호칭만 강조하고 내세워서 마케팅 하는 마케팅 치과는 주의하고 조심해야 합니다. 이에 반해 치과원장의 이력에 정직하게 00 대학교(학사), 00대 학원(석사, 박사)과 함께 '통합 치의학 전문의'가 적혀 있는 곳은 믿고 방문하셔도 좋겠습니다.
1. 통합치의학전문의란?
- 통합 치의학 전문의는 인터넷 강의를 듣고 따는 일종의 자격증입니다. 흥미로운점은 미경험자도 300시간 인터넷강의를 듣고 시험을 볼 수 있습니다. 전문의라는 이름에 어울리지 않게 대학병원 등의 전문 의료기관에서의 수련, 트레이닝 과정은 없습니다. 또한 응시자 대부분이 70% 후반대의 합격률을 보이는 시험입니다.
2. 서울대학교 치의학 교육연수원 vs 치의학대학원
흔히 치과 이력에서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는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치의학 '교육연수원'과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은 완벽하게 다른 곳이니 조심하셔야겠습니다. 마케팅이나 과대광고에 혼동하기 쉬운 이력입니다.
정보교류와 온라인 강의 이수, 단순 연수를 목적으로 하는 교육연수원(https://cedudent.snu.ac.kr/)
서울대학교 :: 치의학대학원 교육연수원
cedudent.snu.ac.kr
대학원의 역할을 하는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https://dentistry.snu.ac.kr/ko)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About 1922년 경성치과의학교의 설립으로 시작된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은 90여년을 지내오며 대한민국 최초 치의학 교육기관으로서 국내 치의학 발전의 중추적인 역할과 사명을 다해오고 있다
dentistry.snu.ac.kr
슬프게도 모든 치과에서 진료 결과가 같지 않은 것이 현실입니다. 어느 치과에서는 크라운과 충치 신경치료 판정을 하는 반면, 어떤 치과에서는 치료할 필요가 없다 판정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마케팅 치과들은 겉으로는 상냥하게 과잉진료를 하는 곳들이 많으니까 신중하고 조심하는 습관을 가져야겠습니다. 그리고 '임플란트' 같은 경우는 가장 중요한 것이 '장비'와 '시술 후 관리'인데 동네 치과는 장비가 적고 저렴한 장비를 쓰는 곳이 많고, 심할 경우 나중에 치과가 사라져서 관리를 받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으니 특히 임플란트는 비용은 많이 들더라도 임플란트만 전문으로 하는 큰 치과나 큰 규모의 치과에 가는 것이 현명하겠습니다. 그 이유는 바로 임플란트는 시술 후 제대로 관리를 안 하면 나중에 또 시술을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임플란트는 시술보다 훨씬 더 중요한 것이 '꾸준한 정기 검진과 관리'다. 작은 동네 치과는 치과의사가 책임을 지지 않고 회피를 하고 또 몇 년 후에는 다시 새로운 시술을 권하는 경향이 많아서 한번 할 때 제대로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 글을 읽으신 분들은 후기 과대광고나 마케팅 치과는 조심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고 이만 마치겠습니다.
'꿀팁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3.18] 모바일 운전면허증 발급 방법 (0) | 2022.03.18 |
---|---|
[22.03.14] 앱테크로 매달 10만원 버는 방법 (0) | 2022.03.14 |
[22.02.12] 휴일과 심야시간에 영업하는 약국 찾는법(휴일지킴이 약국) (0) | 2022.02.12 |
[22.02.07] 상속으로 가족끼리 싸우는 케이스 4가지(유류분 반환청구) (0) | 2022.02.07 |
[22.01.18] 자가격리시 국가에서 자가격리 지원금 받는법 (0) | 2022.01.18 |
댓글